본문 바로가기

세이버메트릭스2

야구지표 : 선수를 파악하는 데이터 이 글은 타자와 투수를 평가할 때 꼭 알아야 할 기본 지표와 세이버메트릭스 응용 지표를 한 번에 정리합니다. 각 지표의 계산식, 뜻, 실전 활용 포인트를 함께 소개하여, 중계 해설을 이해하고 선수 분석 글을 작성할 때 근거를 명확히 제시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1. 타자 지표타자 지표는 크게 결과(안타·홈런·타점 등)와 효율(출루율·장타율), 그리고 환경을 보정한 종합지표(wRC+ 등)로 나뉩니다. 같은 수치라도 리그·구장 환경에 따라 체감 가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비율 지표와 보정 지표를 함께 보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아래 표는 응용 지표 중심으로 핵심을 요약한 것입니다.지표계산식의미활용 팁OPSOBP + SLG출루 능력과 장타력을 합친 종합 공격 지표0.800↑ 평균 이상, 1.000↑ 최상위... 2025. 8. 16.
현대야구의 진화 : 데이터로 바뀐 전략 야구는 단순한 공놀이에서 첨단 기술과 과학이 융합된 전략 스포츠로 발전해왔습니다. 이 글에서는 데이터 기반 야구의 등장 전후를 비교하며, 현대 야구가 어떤 방식으로 진화했는지 살펴봅니다.1. 데이터 이전의 야구 – 감과 경험의 시대데이터 분석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전까지, 야구 운영은 주로 감독이나 스카우트의 ‘감’과 ‘직관’에 의존했습니다. 타율, 홈런 수, ERA와 같은 전통적인 지표 외에는 활용 가능한 정량적 자료가 드물었기에, 선수의 가치를 과소평가하거나 과대평가하는 경우도 흔했습니다.1990년대 말, 미국 메이저리그 일부에서는 이러한 비효율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새로운 분석 시도가 등장합니다. 이 시기부터 “숨어 있는 가치”를 찾기 위한 데이터 중심의 접근이 조용히 확산되기 시작했습니다.2. 머니.. 2025. 7.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