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타자와 투수를 평가할 때 꼭 알아야 할 기본 지표와 세이버메트릭스 응용 지표를 한 번에 정리합니다. 각 지표의 계산식, 뜻, 실전 활용 포인트를 함께 소개하여, 중계 해설을 이해하고 선수 분석 글을 작성할 때 근거를 명확히 제시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1. 타자 지표
타자 지표는 크게 결과(안타·홈런·타점 등)와 효율(출루율·장타율), 그리고 환경을 보정한 종합지표(wRC+ 등)로 나뉩니다. 같은 수치라도 리그·구장 환경에 따라 체감 가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비율 지표와 보정 지표를 함께 보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아래 표는 응용 지표 중심으로 핵심을 요약한 것입니다.
지표 | 계산식 | 의미 | 활용 팁 |
---|---|---|---|
OPS | OBP + SLG | 출루 능력과 장타력을 합친 종합 공격 지표 | 0.800↑ 평균 이상, 1.000↑ 최상위. 팀 공격의 1차 스크리닝 |
ISO | SLG - AVG | 단타를 제외한 순수 장타력 | 0.200↑면 정통 강타자. OPS와 함께 보면 유형 구분 용이 |
BABIP | (H - HR) ÷ (AB - K - HR + SF) | 인플레이 타구가 안타가 될 확률 | 평균 약 0.300. 높으면 운·컨택 반영, 낮으면 불운 가능성 |
BB% | BB ÷ PA | 타석 대비 볼넷 비율(선구안) | 10%↑면 선구안 우수. 출루 기반 선수 판별에 유용 |
K% | SO ÷ PA | 타석 대비 삼진 비율 | 20%↓ 안정, 30%↑ 위험. ISO와 함께 해석 |
BB/K | BB ÷ SO | 삼진 대비 볼넷 비율(선구안 안정성) | 0.5↑ 준수, 1.0↑ 매우 우수. 타석 퀄리티 지표 |
wOBA | 출루 유형에 가중치 적용 | 출루·장타를 함께 반영한 정밀한 공격력 | 리그 평균 약 0.320. OPS보다 예측 정확도가 높음 |
wRC+ | wOBA를 리그·구장 보정 (평균=100) | 환경 차이를 제거한 득점 생산성 | 120=평균보다 20% 우수. 리그/구장 다른 선수 비교에 최적 |
① 출루형은 OBP·BB%·BB/K가 높고 ISO는 보통.
② 파워형은 ISO·SLG가 높아 OPS 급등.
③ 컨택형은 AVG·BABIP가 높고 삼진 적음.
④ 전성기 판단은 나이·타석 수·부상 이력과 함께 wRC+로 분석하면 정확도 상승.
2. 투수 지표
투수 성적은 수비력과 구장, 운에 크게 흔들립니다. 그래서 ERA(평균자책)만으로 평가하면 오판이 생기기 쉽습니다. FIP·xFIP처럼 수비와 운을 최대한 배제한 지표, K/9·BB/9·K/BB·WHIP처럼 능력과 안정성을 보여주는 지표를 함께 확인해야 합니다.
지표 | 계산식 | 의미 | 활용 팁 |
---|---|---|---|
K/9 | (K × 9) ÷ IP | 9이닝당 삼진 | 9↑면 탈삼진 능력 우수 |
BB/9 | (BB × 9) ÷ IP | 9이닝당 볼넷 | 2↓ 안정, 4↑ 위험 |
K/BB | K ÷ BB | 볼넷 1개당 삼진 비율 | 3↑면 제구+구위 모두 우수 |
WHIP | (BB + H) ÷ IP | 이닝당 출루 허용 | 1.10↓면 뛰어남 |
FIP | (13×HR + 3×BB - 2×K) ÷ IP + 보정치 | 수비·운 제외, 투수 독립 성과 | ERA와 비교해 운/수비 영향 확인 |
xFIP | FIP에서 HR을 리그 평균 HR/FB로 대체 | 운 요소 제거 능력치 | 장기 성적 예측에 유리 |
LOB% | 잔루 주자 ÷ 전체 주자 | 주자 실점 억제율 | 75% 평균, 80%↑ 우수 |
BABIP(투수) | (H - HR) ÷ (BF - K - HR + SF) | 인플레이 타구 안타 허용률 | 평균 약 0.300, 수비·운 영향 큼 |
① K/BB와 WHIP으로 기본 안정성 점검
② FIP·xFIP로 실력 대비 ERA 괴리 확인
③ LOB%·BABIP으로 단기 운·수비 영향 확인
④ 구장·수비·포수 리드까지 종합 반영.
3. 읽는 법: 지표 조합으로 ‘선수상’을 그리기
타자는 OPS와 wRC+로 총량과 보정 성과를 동시에 본 뒤, BB%·K%·BB/K로 타석 퀄리티를 파악합니다. ISO로 파워를, BABIP으로 단기 운을 가늠하면 ‘출루형·컨택형·파워형’의 유형이 분명해집니다. 예컨대, BB% 12%, K% 17%, BB/K 0.7, ISO 0.210, wRC+ 135라면 선구안과 중장거리 파워를 갖춘 ‘중심타선형’ 가능성이 높습니다.
투수는 K/9·BB/9·K/BB로 구위와 제구를 먼저 체크합니다. 그다음 FIP·xFIP로 ‘수비와 운 제거 후’의 기량을 확인하고, WHIP으로 출루 관리, LOB%와 BABIP으로 단기 등락의 원인을 좁혀갑니다. K/BB 4.0, WHIP 1.05, FIP 2점대 조합은 사이영상 레벨의 안정적 엘리트 퍼포먼스일 가능성이 큽니다.
마지막으로, 시즌 중 변동을 해석할 때는 표본 크기(타석·이닝), 부상·컨디션, 상대 투수/타자 매치업, 구장·날씨까지 검토해야 합니다. 지표는 선수를 파악할 수 있는 전체적인 흐름을 제공하지만, 실제 경기에서는 그 선수의 데이터로 표현되지않은 +@가 있습니다. 그 선수가 보여주는 +@가 나타나는 것이 야구의 묘미라고 할 수 있죠(야구 모릅니다).
'야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구 인터피어런스(방해): 주루방해, 수비방해, 타격방해, 심판방해 (2) | 2025.08.17 |
---|---|
플레이볼, 라이브볼, 볼데드 : 야구의 시작, 진행에 관하여 (3) | 2025.08.16 |
야수선택 의미와 기록 처리 완벽 정리 (4) | 2025.08.15 |
야구응원: 한미일 응원문화비교 (6) | 2025.08.13 |
KBO 포스트시즌 제도: 왕좌를 차지하기 위한 역사의 기록 (5) | 2025.08.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