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구를 보다 보면 “플레이볼”, “라이브볼”, “데드볼(볼데드)”이라는 용어를 자주 듣게 됩니다. 하지만 이 세 가지의 차이와 관계를 정확히 이해하는 팬은 많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세 용어의 정의, 경기 진행 흐름 속에서의 변화, 실제 사례, 그리고 상황별 주루·득점 처리 규칙까지 단계별로 정리합니다. 앞으로 이 시리즈에서는 야구 규칙의 기본부터 심판 판정의 세부 사항, 경기 중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까지 실제 경기와 연결해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할 예정입니다.
1. 뜻·상태·신호: 세 용어 한눈에 정리
먼저 큰 틀부터 잡겠습니다. 플레이볼은 심판의 “시작·재개” 신호이고, 라이브볼과 데드볼은 경기의 상태입니다. 주심이 “플레이볼!”을 선언하는 순간 공은 살아 있는 라이브볼이 되며, 파울·사구·타임 같은 사건이 발생하면 즉시 데드볼로 전환되어 모든 플레이가 멈춥니다. 이 구조를 이해하면 대부분의 헷갈림이 사라집니다.
용어 | 직접 의미 | 핵심 포인트 | 대표 발생/사용 시점 |
---|---|---|---|
플레이볼 (Play ball) | 경기(상황) 시작·재개 | 심판의 구호, 상태가 아니라 신호 | 이닝 시작, 타석 재개, 타임 이후 재개 |
라이브볼 (Live ball) | 살아 있는 공 | 모든 주루·수비·득점 가능 | 플레이볼 직후부터 데드볼 전까지 |
데드볼 (Dead ball) | 멈춘 공 | 플레이 중단, 주루·수비 불가 | 파울, 사구, 홈런·경계 밖 타구, 타임 등 |
정리하면, 플레이볼 → 라이브볼 → (사건) → 데드볼 → 플레이볼…의 순환입니다. 여기서 플레이볼은 버튼이고, 라이브볼/데드볼은 화면 상태라고 이해하면 쉽습니다. 이 구분을 기억해 두면 파울 직후 주루가 안 되는 이유, 사구 뒤 1루가 주어지는 원리, 홈런 때는 왜 여유롭게 베이스를 도는지 같은 의문이 자연스럽게 풀립니다.
2. 진행 흐름과 실전 사례로 이해하기
실제 경기 흐름에서 라이브볼·데드볼·플레이볼이 어떻게 오가는지 사례로 보겠습니다. 이닝이 시작되면 주심이 플레이볼을 선언하고, 공은 라이브볼이 됩니다. 타자가 파울을 만들면 공은 즉시 데드볼. 잠시 준비를 거친 뒤 다시 플레이볼이 선언되며 라이브 상태가 재개됩니다. 이 반복 속에서 각 사건은 서로 다른 효과를 냅니다.
- 파울 타구: 즉시 데드볼. 주자는 되돌아가고, 카운트만 반영됩니다(삼진 파울팁은 예외 규정 유의).
- 홈런/파울홈런: 담장을 넘기면 데드볼. 홈런이면 모든 주자가 자유롭게 홈까지, 파울홈런이면 단순 파울과 동일.
- 사구(HBP): 투구에 타자가 맞으면 데드볼. 타자 1루 진루, 주자는 규칙에 따른 강제 진루.
- 보크(Balk): 원칙적으로 지연 데드볼 성격. 타자·모든 주자가 한 베이스 이상 무사히 진루하면 보크 무시, 그렇지 않으면 주자 1베이스씩 부여.
- 수비 방해: 보통 즉시 데드볼. 공격 측이 수비를 방해하면 아웃 또는 배터아웃 판정과 함께 플레이 중단.
- 주루 방해: 대체로 지연 데드볼. 수비가 주자의 진로를 막았다고 판단되면 심판이 보정 진루를 부여.
- 경계 밖으로 나간 타구/송구: 즉시 데드볼. 그라운드 룰에 따라 2루타(그라운드 룰 더블) 또는 송구 기준 베이스 어워드 적용.
- 타임(Time): 부상, 장비, 날씨, 관중 등 안전·공정 사유로 심판이 선언하면 데드볼. 재개는 다시 플레이볼.
3. 헷갈리기 쉬운 포인트 Q&A
Q1. “플레이볼”을 안 외쳤는데 투수가 던져 아웃이 됐다면?
A. 무효입니다. 플레이볼은 라이브 상태로 전환하는 공식 신호입니다. 선언 전 투구나 주루 행위는 성립하지 않습니다.
Q2. 데드볼인데 도루를 시도하면?
A. 데드 상태에서는 주루·수비 모두 금지입니다.
Q3. 사구인데 타자가 계속 스윙해서 인플레이가 되면?
A. 사구는 즉시 데드볼이므로 그 이후의 플레이는 무효입니다.
4. 주루·득점 처리: 상황별 기본 베이스 어워드
- 사구(HBP): 타자 1루. 주자는 강제 상황이면 한 베이스씩 진루.
- 홈런: 타자·모든 주자 득점 인정.
- 그라운드 룰 더블: 타자·주자 각 2루.
- 수비의 송구가 경계 밖: 송구 시점 기준 2베이스 어워드.
5. 초보자용 암기 팁 & 현장 체크리스트
(1) 심판이 플레이볼을 외쳤는가? → 외쳤다면 지금은 라이브.
(2) 사건이 났는가? → 났다면 데드.
(3) 데드의 종류는 무엇인가? 즉시/지연 데드 구분.
(4) 베이스 어워드는 무엇인가? 타구/송구/투구 중 어디서 발생했는지 기준 확인.
'야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구 인터피어런스(방해): 주루방해, 수비방해, 타격방해, 심판방해 (2) | 2025.08.17 |
---|---|
야구지표 : 선수를 파악하는 데이터 (3) | 2025.08.16 |
야수선택 의미와 기록 처리 완벽 정리 (4) | 2025.08.15 |
야구응원: 한미일 응원문화비교 (6) | 2025.08.13 |
KBO 포스트시즌 제도: 왕좌를 차지하기 위한 역사의 기록 (5) | 2025.08.12 |
댓글